본문 내용헤지펀드헤지펀드 장점 및 단점 파생상품 |
헤지펀드
헤지펀드는 다양한 유동성 자산(주식, 채권, 외환, 파생상품 등)을 대상으로 특화된 전략을 사용하며 투자 전략을 최대한 공개하지 않고 큰 수익을 올리는 방법의 펀드다. '헤지(hedge)'의 뜻은 '위험을 회피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울타리'다. 그러므로 헤지펀드는 위험을 상쇄하거나 손실을 피하거나 줄이기 위해 노력하는 펀드를 의미한다.
일반 펀드와의 차이점의 경우 헤지펀드는 앞서 살펴봤었던 '레버리지 기법'을 이용해서 최소의 손실로 최대의 이익을 얻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점이다. 일반적인 펀드와 달리 높은 차입 비율(레버리지)를 떠안게 되는 것이며, 소수의 투자자들을 비공개로 모집하여 절대수익을 남긴다는 특징이 있다. 헤지펀드의 투자자들은 개인 혹은 기관이 있는데, 대개는 헤지펀드사에 의해 운영되며, 운영자금 순위 세계 10대 헤지펀드사 중 8곳이 미국이다.
시장에서 말하는 헤지펀드는 높은 수익률을 추구하는 만큼 리스크 역시도 매우 높은 편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헤지펀드는 상황에 따라서 레버리지 비율을 극대화하여 큰 수익률을 올릴 수 있는데, 다른 종류의 펀드와 다르게 높은 수익율 대비 세금과 정부의 규제가 적은 편이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정부의 제약을 피한다는 의미에서 헤지 펀드라고 하기도 한다.)
헤지펀드 투자자가 되기 위해서는 최소 가입금액(약 1억원)과 일정 금액을 1년 이상 투자해야 하는 등의 조건이 있다. 헤지펀드는 레버리지를 이용해 파생금융상품에 투자하기도 하며, 최근에는 원유나 귀금속 등 실물에 투자하기도 한다. 헤지펀드는 다양한 전략과 상품을 다루기 때문에 매우 유능한 펀드 매니저와 운용 관리자들을 여럿 필요로 하게 된다. 이에 운용보수와 성과 보수도 높은 편이다.
헤지펀드 장점 및 단점
헤지펀드 장점 - 수익률이 기본적으로 높다. - 레버리지를 비롯해 다양한 투자 전략을 구사할 수 있다. - 하락장세에서도 수익극대화 전략 구사가 가능하다. - 투자 규제에서 자유로운 편이다. |
헤지펀드 단점 - 수익률이 높은 만큼 투자 리스트가 높다. - 수수료 및 운용보수가 높다. - 환매가 자유롭지 않다. |
*** 파생상품: 쉽게 말해 파생이 된 금융상품이 파생상품이다. 주식, 채권, 외화, 농산물, 원유 등 여러 형태의 상품을 기초 자산으로 하여 기초 자산의 가치변동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는 금융상의 계약 형태다. 환율이나 금리, 주가 등의 시세변동에 따른 손실 위험을 줄이기 위해 일정 시점에 일정한 간격으로 새로운 현금흐름을 가져다주는 증권이라 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선물, 선도, 스왑계약 및 옵션계약이 있다. (파생상품은 다음 시간에 더욱 자세히 알아 보도록 하자.)
다음 시간에는 '헤지펀드의 투자 전략'에 대해 알아 보자.
'왕초보 경제 지식 > 경제 용어 바로 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용어 바로 알기] 헤지펀드 투자 전략 (0) | 2024.05.22 |
---|---|
[경제 용어 바로 알기] 펀드부터 후취 수수료까지 (0) | 2024.05.14 |
[경제 용어 바로 알기] 유상증자부터 채권까지 (1) | 2024.05.13 |
[왕초보 경제 용어 바로 알기] 레버리지부터 자기자본순이익률까지 (0) | 2024.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