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초보 경제 지식/경제 용어 바로 알기 5

[경제 용어 바로 알기] 헤지펀드 투자 전략

본문 내용헤지펀드 투자 전략- Long/ short- Event driven- Equity hedge (Long/ short equity)- Relative value공매도액티브 펀드패시브 펀드인덱스 펀드   https://investinginstocks.tistory.com/4 [경제 용어 바로 알기] 헤지펀드란 무엇인가?본문 내용헤지펀드헤지펀드 장점 및 단점파생상품 헤지펀드 헤지펀드는 다양한 유동성 자산(주식, 채권, 외환, 파생상품 등)을 대상으로 특화된 전략을 사용하며 투자 전략을 최대한 공개하지investinginstocks.tistory.com    지난 시간에 헤지펀드의 뜻을 간단하게 알아 봤다. 그렇다면 헤지펀드는 어떻게 투자하는 방식일까? 헤지펀드 투자 전략 중 몇 가지를 알아 보자.  ..

[경제 용어 바로 알기] 헤지펀드란 무엇인가?

본문 내용헤지펀드헤지펀드 장점 및 단점파생상품 헤지펀드 헤지펀드는 다양한 유동성 자산(주식, 채권, 외환, 파생상품 등)을 대상으로 특화된 전략을 사용하며 투자 전략을 최대한 공개하지 않고 큰 수익을 올리는 방법의 펀드다. '헤지(hedge)'의 뜻은 '위험을 회피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울타리'다. 그러므로 헤지펀드는 위험을 상쇄하거나 손실을 피하거나 줄이기 위해 노력하는 펀드를 의미한다. 일반 펀드와의 차이점의 경우 헤지펀드는 앞서 살펴봤었던 '레버리지 기법'을 이용해서 최소의 손실로 최대의 이익을 얻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점이다. 일반적인 펀드와 달리 높은 차입 비율(레버리지)를 떠안게 되는 것이며, 소수의 투자자들을 비공개로 모집하여 절대수익을 남긴다는 특징이 있다. 헤지펀드의 투자자들은 개인 혹은 ..

[경제 용어 바로 알기] 펀드부터 후취 수수료까지

본문 내용펀드자산운용회사선취 수수료후취 수수료 헤지펀드를 알아 보기 전에 펀드란 정확히 무엇인지 알아 보자. 펀드 펀드란 한국말로 '기금'으로 여러 투자자가 함께 돈을 모아서 만드는 투자용 뭉칫돈이다. 어렵게 말하면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모금한 실적 배당형 투자 모금이라고 할 수 있다. 모은 돈을 전문가에게 맡겨서 투자를 시키고, 수익이 발생하면 수익을 쉐어한다. 이 때, 전문가에게는 판매수수료를 제공한다. 쉽게 말해서 내가 사고 싶은 주식의 값이 내가 가진 돈보다 비쌀 경우 관련 펀드에 넣어서 간접적인 투자가 가능하다. 주식, 채권, 부동산이나 금, 석유, 곡물, 광물 같은 상품은 수시로 시세가 변하여 거액을 모아 투자하면 유리하다. 이에 펀드는 그런 투자 용도로 조성된다. 우리나라를 포함해 세계 주요국..

[경제 용어 바로 알기] 유상증자부터 채권까지

본문 내용유상증자신주정관변경채권   유상증자 유상증자란 기업이 일정 금액의 자본금을 증가시키는 행위다. (반대되는 개념은 '감자'다.) 여기서 '증자'란 기업이 주식을 추가로 발행해서 자본금을 늘리는 것이다. 새로 발행하는 신주를 돈을 내고 사는 유상증자, 그리고 공짜로 나눠주는 무상증자로 나눠진다. 유상증자는 신주를 발행할 경우 그 인수가액을 현금이나 현물로 납입시켜 신주자금 또는 재산이 기업에 들어오는 경우를 말한다. 유상증자를 하면 발행주식수와 함께 회사 자산도 늘어나지만 무상증자는 주식수만 늘 뿐 자산에는 변화가 없다. 기업들은 증자규모는 정관변경을 통해 발행예정주식총수를 제한없이 늘릴 수 있기에 신주발행(유상증자)의 제한은 없다. 증자는 이사회 결의로 가능하다. 회사는 이사회에서 증자규모와 청약..

[왕초보 경제 용어 바로 알기] 레버리지부터 자기자본순이익률까지

본문 내용레버리지(Leverage)차입금 총자산순이익률 (Return On Asset, ROA) 자기자본순이익률 (return on equity, ROE) 주식 투자 전 경제와 주식 관련 용어를 알아 보자. 한 용어를 찾아 보면, 다시 모르는 단어가 등장하기 일쑤다. 그럼 같이 알아 보면 된다. 왕초보도 상관 없다. 이제부터 알면 그만이다!   레버리지(Leverage) 레버리지란 우리 말로 '차입투자'라 한다. 비싼 경우가 많은 자본금에 비해 저렴한 차입금으로 자본금을 대체하는 것이다. 즉, 자산투자로부터 수익 증대를 위해 차입자본(부채)을 끌어다가 자산매입에 나서는 투자전략을 총칭한다. 총자산순이익률이 이자율보다 높은 경우 자기자본순이익율이 높아지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차입금 차입금이란 기업을..